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UBD 뜻과 단위 1 UBD = 17000 풍자라고 하기엔 조금은 씁쓸한 단어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2. 10. 5.
반응형

UBD 란 단어를 들어봤을 것이다. 영화 관객수를 비교하는 단위로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을 기준으로 한다. 이 영화는 최종 관객수 17만이란 성적을 거두었으며 엄복동이란 이름의 영어 이름 약자인 UBD 가 사용되어 1 UBD 는 17만 이란 단위가 만들어졌다. 역사적 사실과 영화의 허구의 차이가 크기 때문일까 조금은 씁쓸한 단어이기도 하다.

UBD 뜻과 단위 1 UBD = 17000
풍자라고 하기엔 조금은 씁쓸한 단어

최근 인터넷에서 본 단어가 UBD 이다.

무슨 화폐 단위인가 하고 찾아봤지만 정확한 의미는 찾을 수 없었다.

과학분야의 학술적인 코드는 있었지만 이것은 아닐 것이고, 어떤 영화의 제목의 축약어였다.

자전차왕 엄복동

이 영화의 영화 제목은 Race to Freedom 인데 왜 UBD 가 되었는지 궁금했다.

왠만한 영화는 다 봤다고 자부했지만 왜 이것을 못 봤는지 기억은 나지 않지만, 아마도 다른 재미있는 영화를 봤기 때문일 것이다.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

단어 의미를 알기 전에 영화 자전차왕 엄복동을 먼저 알아야 UBD란 단어의 유래를 알 수 있다.

자전차왕 엄복동은 일제시대 자전차 대회에서 조선인으로써 무패행진을 한 실존 인물 엄복동을 그린 영화이다.

자전거 절도범에서 자전거 왕이 되기까지를 그린 영화이고, 영화 전개상 독립운동가들과 엮이게 된다.

민족 자긍심을 고취할 목적으로 자전거 대회 참여를 독려하는 독립운동가들과 그들의 선수로써 참가하는 주인공

영화의 시놉시스를 보고 있더라도 음~

이걸 어떻게 연결짓고 스토리를 풀어나가야할지 의문이 들긴 한다.

엄복동이란 인물 자체만으로 자전거 대회 우승과 무패행진이란 이야기만 해도 이야기를 풀어나가기 어려웠을 텐데 말이다.

UBD = 17000 의미

이게 제작사 입장에서도 불편하고 엄복동 기념사업회 입장에서도 양측 모두 불편한 결과가 되었다.

영화 리뷰를 조금 봤지만 좋은 이야기가 없다는 것이 놀라웠다.

당시 쟁쟁한 영화들과 경쟁하는 관계도 있었을 것이다.

댓글들을 봐도 썩 좋은 의견들이 없는 것을 보면 대강 짐작은 가지만, 자세한 것은 영화를 봐야 알 것 같다.

결과만을 놓고 보면 자전차왕 엄복동은 최종 관객수 약 17만명으로 집계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서 나온 것이 1 UBD = 17만 이란 수식이 붙었다.

엄복동의 영어 이름 약자인 UBD 와 최종 관객수 17만이란 단어가 수식어로써 자리잡게 된 것이다.

UBD 이 다른 의미로는 the Unit of Box office Dealings 이기도 하다.

실존 인물의 역사적 사건

엄복동에 대한 자료를 찾아보면 몇몇 사건들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일제시대 일본은 조선에 자전거를 도입하고 비싸게 팔기 위한 정책으로 자전거 대회를 열기도 했었다.

당시 자전거 가격은 꽤나 비싼 제품이었고, 지금의 가치로 보면 트럭정도의 값어치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란 생각이다.

당시 엄복동의 일터는 자전거 가게 였고 점원으로써 일하고 있었다.

판매, 수리 그리고 배달까지 했던 것을 찾을 수 있고, 당시 자전거 대회의 참가자는 자전거 가게 점원들이 상당수 였다는 기록이다.

아마도 자전거를 상대적으로 많이 접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에 그렇지 않았을까 싶다.

지금도 비슷한 사례가 자동차 정비소가 그렇다.

카레이서들이 대표적인데 본업인 카레이서 외에 일반적인 자동차 정비와 수리 및 튜닝을 겸하는 정비소를 하나쯤 가지고 있기도 하다.

어쨌든 엄복동은 자전거 가게에서 일하면서 자전거 대회에 출전했으며 우승까지 하는 결과를 낳았고, 이것이 조선인들의 사기를 올리고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당시 실제 기사 중 하나를 발췌하면 아래와 같다.

동양 자전거 대왕 엄복동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일미상회에 취직하여 자전거 선수가 되었고,
국내뿐 아니라 국제대회까지 우승하면서 국민영웅이 되었다.
그의 체육 활동 업적은 경이롭다.
지금의 대한사이클연맹 회장배 격인
전조선자전차경기대회에서 3번의 우승을 거머쥐었으며
아시아 자전거경기대회에서도 우승하였다.
이러한 업적은 일본의 방해와 엘리트 선수들을 이겨내고 이룬 것으로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훈련하는 현재에도 거두기 힘든 대단한 것이다

풍자의 단어 UBD

결과적으로 영화는 흥행을 하지 못했다.

최종 관객수 약 17만 성적을 냈으며 관객들의 평가도 그리 좋지는 않았다.

네이버 평점 7점이면 준수한 편이라고 들었는데 평점과 리뷰어들의 거리감은 너무 크다.

그런 결과로 나온 것이 1 UBD = 17000 이란 단어가 만들어 졌다.

이후, 영화 흥행 단위로써 1 UBD 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어떤 웹사이트들은 UBD 계산기를 만들었고, 영화 리뷰어들은 다른 영화를 소개할 떄 UBD 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화폐 단어인 줄 알았지만 난해한 결과를 접하니 풍자로 접하기 재미로 접하기도 애매해 지는 것도 사실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