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게자 뜻 사죄의 뜻으로 상대방에 바닥에 엎드려 절을 하는 것

by ㅁㅜㅅㅣㄱㅈㅐㅇㅣ 2022. 9. 7.
반응형

도게자는 일본에서 유래한 상대방에 사과의 의미로 절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그 의미는 다른데 바닥에 납작 엎드려 절을 하는 것으로써 상대방에 나의 모든 것을 내던지는 것이다. 사죄의 표시를 하는 것이긴 하지만 불명예스럽고 수치스런 사과에 가깝다. 도게자의 반대로 극 존칭과 존경의 의미인 그랜절이 있다.

도게자 뜻 사죄의 뜻으로 상대방에 바닥에 엎드려 절을 하는 것

인터넷의 커뮤니티를 돌아다니다보면 댓글을 이용한 싸움이 종종 일어나고 싸움에서 패배한 사람은 도망가거나 도게자를 박는다.

여기서 말하는 도게자란 의미는 문법적인 의미로 뭔가 사과의 표현을 하는 느낌이 강하게 든다.

맞다. 사과의 의미를 담은 댓글을 작성하는 것을 말한다.

현실에서의 도게자는 절을 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과라는 단어를 하면 되지만 굳이 도게자를 사용하는 의미는 잘 모르겠지만 어쨌든 의미를 살펴보면 재미있다.

단어의 의미

먼저 도게자와 유사한 의미를 찾자면 석고대죄가 있다. 의미가 비슷할 뿐이지 방식은 다르다.

도게자는 사과의 의미로 사죄를 하는 것이고, 석고대죄는 자신이 잘못을 인정하고 처벌을 기다리는 것을 의미한다.

도게자는 유래는 단어를 보면 대충 알 수 있다. 일본이다.

일본에서 유래한 도게자는 바닥에 바짝 엎드려 절을 하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를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일본의 영화나 애니 등을 보면 바닥에 엎드려 살려달라 애걸복걸하는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이 도게자이다.

도게자란 한자로는 土下座 ( 土下座 ), 영어로는 발음 그대로 dogeza 이며, 일본어로는 どげざ 라 쓴다.

불명예로써의 사죄

도게자는 일반적인 의미로써의 사죄와는 다르다.

머리를 조아리고 바닥에 몸을 바짝 엎드리는 것이다.

자세나 형태를 보면 우리나라의 절과 비슷하지만 의미로써는 완전히 다른 것이다.

사과하는 입장에서 자신을 완전히 내던지는 불명예와 수치까지 감당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자주 사용되는 도게자는 절까지는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들이 보고 진정성이 느껴질 그 이상의 사과문을 의미하기도 한다.

진정성이 있다면 사람들이 이해해주지만 변명이 더 많은 경우 오히려 역효과가 나는 경우도 있다.

여기서 유래된 말이 몇몇 있다.

  • 인생은 실전이다.
  • 확실하지 않으면 승부를 걸지 마라
  • 물지 못하면 짖지도 마라

반대의 경우 그랜절

도게자와 반대의 의미인 그랜절이 있다.

웹툰 천리마마트에서 나왔으며, 드라마에서도 그 장면이 나온다.

그랜절의 자세는 요가 자세 중 머리서기와 같다.

패러디에 가까우며 그랜절의 의미는 도게자와 완전히 반대로 상대방을 극도로 존중하고 존경하는 의미로 절을 하는 것으로써 바닥에 머리와 팔로 지지대를 만들고 물구나미를 서는 자세이다.

사실 그랜절은 패러디물에 가깝지만, 그럼에도 시도하는 이들은 적지 않다.

반응형

댓글